[광고] "라부부가 너무 말랑하면 짝퉁입니다" 환경호르몬 기준치 344배 검출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 국내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 캐릭터 '라부부(Labubu)'의 짝퉁 제품에서 기준치를 수백 배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충격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해외 직구와 SNS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유통되는 저가 제품들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당국이 대규모 할인 시즌을 앞두고 특별 단속에 나섰다.
관세청은 최근 라부부 캐릭터의 인기에 편승해 무분별하게 유통되는 관련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 검사를 실시했다. 특유의 괴기스러우면서도 귀여운 표정으로 MZ세대 사이에서 '인증샷' 열풍을 일으킨 라부부는 희소성까지 더해지며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그러나 관세청이 시중에 유통되는 라부부 열쇠고리 5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이 중 2개 제품이 정품이 아닌 '짝퉁'으로 확인됐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짝퉁 제품에서 검출된 유해 물질의 수치였다. 해당 제품에서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가소제(프탈레이트계)가 국내 안전 기준치의 무려 344배나 검출됐다. 가소제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의 성장 발달을 저해하고 생식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바로가기
관세청은 최근 라부부 캐릭터의 인기에 편승해 무분별하게 유통되는 관련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 검사를 실시했다. 특유의 괴기스러우면서도 귀여운 표정으로 MZ세대 사이에서 '인증샷' 열풍을 일으킨 라부부는 희소성까지 더해지며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그러나 관세청이 시중에 유통되는 라부부 열쇠고리 5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이 중 2개 제품이 정품이 아닌 '짝퉁'으로 확인됐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짝퉁 제품에서 검출된 유해 물질의 수치였다. 해당 제품에서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가소제(프탈레이트계)가 국내 안전 기준치의 무려 344배나 검출됐다. 가소제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의 성장 발달을 저해하고 생식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바로가기
- 이전글[광고] 유승민·한동훈·조국, 내년 지방선거 '미니 대선'으로 폭발 25.11.06
- 다음글[광고] 멕시코 '최초의 여성 대통령' 대낮 거리서 성추행 봉변 25.11.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