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창고 , 공유창고창업에 대한 2년간의 경험 공유
페이지 정보

본문
2년간 운영한 간단한 이야기 풀어봅니다. 이미 해외에서 공유창고 ( 셀프스토리지라고하죠.. )를 경험했고 한국에서는 무인창고로 더 많이 알려져있기에 저도 조그마하게 준비해봤습니다.
직장인이라 크게 손이 타지 않는 사업을 생각했고, 처음 투자를 통해 창업하는 것이기에 리스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사업만 봤습니다 제가 실제로 써보고 좋은지 경험하고 시작했어요. 창고라는게 없을때에는 모르나 실제 써보면.. 아이용품, 집에안쓰는물건 가져다두면 다시 가지고올 수 없습니다 ^^; 집근처에서 창업준비기간 6개월간 한달 쓰고 빼려던걸 계속 쓰다가 결국 제가 오픈한 곳에 가져다두었네요
저는 지식산업센터 지하로 오픈했고 40평 정도로했는데 아쉬운건.. 조금 더 큰걸 할껄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조금이나마 관심있던 분들 참고하시라고 뽐뿌 창업게시판에 적어드려요.
제 기준.. 오픈비용 1.22억이고
평균 매출 480만원 임대료 & 관리비 180만원 프랜차이즈 운영비 20% 90만원
평균 순수익 180만원 예상 환수 기간 50개월 이내로 예상되네요 ( 점유율은 계속 오르고 있어서.. )
현재 무인창고 2호 지점도 고민하고 있고 지방쪽도 생각은 하고 있네요
__________
[ 창고를 창업하시기에 알면 좋은 정보 ]
1. 오픈 후 1,2개월은 매출이 매우 낮습니다 ( 임관리비도 안나왔네요 ) 2. 개인적으로 창업하면 비용이 훨씬 줄어듭니다 ( 최소 30% ) 하지만 관리 리소스는 감당해야 합니다. 3. 프랜차이즈는 창업하고 한번도 안가도 됩니다. 직원고용 필요없고 물품 관리할 것 없고 반년에 한번 담당자랑 통화하나 싶네요... 4. 한번 고객은 장기 고객.. 평균 사용 기간은 1년이라 들었으나 오픈하고 한번도 弧 않은 고객이 절반이 넘네요. 5. 공실 많이 남는 건물 있으면 정말 유리합니다.. 이건 뭐 할말 없이 무조건 할 것 같네요
중요한 건 다른 창업과 같은 관점에서 접근하면 무조건 쪽박입니다. 수익성이 높기로 유명했던 탕후루와 정반대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망하는 곳이 손에 꼽힙니다 ( 개인 대출은 절대 비추.. )
직접 창업도 생각보다 난이도가 높진 않습니다. 셀프스토리지 & 무인판매기기 & IOT기기연동 (카메라,온도계,에어컨등) & 세콤 정도 이기에 혼자서도 한번쯤 해볼만한 공유창고창업 분야가 아닐까 싶네요
거의 제작부터 운영까지 사실상 내 손이 거치진 않았지만.. 그래도 창업하고 기간이 좀 지난 것 같아 썰 풀어봅니다 궁금하신게 있으시다면 답변드릴게요 |
- 이전글오늘 첫방송 나영석 피디 신작 ㄷㄷ.JPG 24.09.20
- 다음글7년간 과일만 먹은 여자 인플루언서 24.09.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