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이태원 참사 직후…尹 대통령실, '재난 컨트롤타워' 해체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이태원 참사 이후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이 국가 위기관리 컨트롤타워 기능을 약화시킨 정황이 내부 문건을 통해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국가안보실과 대통령비서실이 통합 운영해온 재난 대응 기능을 분리하고, 그 업무를 대통령 보좌 수준으로 축소한 것이다. 참사 직후 대통령실의 미흡한 대응에 대한 비판이 거셌음에도 오히려 기능을 약화하는 방향을 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대통령기록관에서 제출받은 문건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2023년 3월 윤 대통령 결재를 거쳐 '국가 위기관리 기본지침'을 개정했다. 기존 문재인 정부에서는 안보실과 비서실이 통합적으로 '국가 위기관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으나, 개정 지침에서는 이 문구가 삭제됐다. 재난 분야 위기관리는 비서실 내 국정상황실 업무로 제한되었고, 비서실의 역할은 '대통령의 재난 위기관리 국정 수행 보좌'로 축소됐다. 안보 분야를 전담하게 된 안보실은 재난 초기 상황을 비서실에 전파하는 정도로 역할이 줄었다.
대통령실은 당시 문건에서 "재난 분야는 각 기관과 협업 관계를 유지하며 재난 전문성을 보유한 비서실에서 주도적으로 관리한다"고 밝혔지만, 범정부 차원의 재난 관리를 총괄·조정하는 역할은 행정안전부에 부여했다. 이는 대통령실의 재난 관리 주관 역할이 대통령 의사 결정 보좌로 한정된 상황에서 사실상 행안부에 컨트롤타워 기능을 넘긴 것으로 해석된다.
바로가기
국가안보실과 대통령비서실이 통합 운영해온 재난 대응 기능을 분리하고, 그 업무를 대통령 보좌 수준으로 축소한 것이다. 참사 직후 대통령실의 미흡한 대응에 대한 비판이 거셌음에도 오히려 기능을 약화하는 방향을 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대통령기록관에서 제출받은 문건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2023년 3월 윤 대통령 결재를 거쳐 '국가 위기관리 기본지침'을 개정했다. 기존 문재인 정부에서는 안보실과 비서실이 통합적으로 '국가 위기관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으나, 개정 지침에서는 이 문구가 삭제됐다. 재난 분야 위기관리는 비서실 내 국정상황실 업무로 제한되었고, 비서실의 역할은 '대통령의 재난 위기관리 국정 수행 보좌'로 축소됐다. 안보 분야를 전담하게 된 안보실은 재난 초기 상황을 비서실에 전파하는 정도로 역할이 줄었다.
대통령실은 당시 문건에서 "재난 분야는 각 기관과 협업 관계를 유지하며 재난 전문성을 보유한 비서실에서 주도적으로 관리한다"고 밝혔지만, 범정부 차원의 재난 관리를 총괄·조정하는 역할은 행정안전부에 부여했다. 이는 대통령실의 재난 관리 주관 역할이 대통령 의사 결정 보좌로 한정된 상황에서 사실상 행안부에 컨트롤타워 기능을 넘긴 것으로 해석된다.
바로가기
- 이전글오타쿠에 대한 인식이 변했다는 일본 25.10.28
- 다음글[광고] "중국 손님 안 받아요" 카페 등장에 '인종차별' 비판 봇물 25.10.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