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값 인상의 선두자 교촌, 이번에는 "꼼수" 부리다 발각
페이지 정보

본문
교촌치킨이 사실상 가격 인상 논란에 휩싸였다. 순살치킨 메뉴의 중량을 줄이고 원재료를 변경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12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기존 순살치킨 메뉴 4종의 조리 전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이고, 새로 출시된 마라레드순살·허니갈릭순살 등 신메뉴 10종도 처음부터 500g으로 책정했다. 중량은 약 30% 줄었지만, 가격은 그대로 유지돼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더욱 커졌다.
또한 기존에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순살치킨은 닭가슴살을 혼합해 제공하기로 했다. 닭다리살은 육즙이 풍부하고 부드러워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반면, 닭가슴살은 단가가 낮아 체감 가치는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리 방식 역시 변경됐다. 교촌 특유의 ‘붓칠’ 방식이 일부 메뉴에서 사라지고, 소스를 버무리는 방식으로 대체됐다.
업계에서는 교촌치킨의 이러한 변화가 고물가 시대 속 소비자 반발을 피하려는 '슈링크플레이션'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가격을 유지하면서 용량이나 품질을 은근히 낮추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는 '꼼수 인상'으로 여겨진다.
바로가기
12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기존 순살치킨 메뉴 4종의 조리 전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이고, 새로 출시된 마라레드순살·허니갈릭순살 등 신메뉴 10종도 처음부터 500g으로 책정했다. 중량은 약 30% 줄었지만, 가격은 그대로 유지돼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더욱 커졌다.
또한 기존에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순살치킨은 닭가슴살을 혼합해 제공하기로 했다. 닭다리살은 육즙이 풍부하고 부드러워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반면, 닭가슴살은 단가가 낮아 체감 가치는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리 방식 역시 변경됐다. 교촌 특유의 ‘붓칠’ 방식이 일부 메뉴에서 사라지고, 소스를 버무리는 방식으로 대체됐다.
업계에서는 교촌치킨의 이러한 변화가 고물가 시대 속 소비자 반발을 피하려는 '슈링크플레이션'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가격을 유지하면서 용량이나 품질을 은근히 낮추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는 '꼼수 인상'으로 여겨진다.
바로가기
- 이전글트럼프 핵심 측근 암살! FBI, 1억 4천만원 현상금 걸고 '저격범' 공개 수배 25.09.12
- 다음글아이폰17. 1초만에 다품절 몇개풀었길래 25.09.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