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임금 언플의 더러운 진실
페이지 정보

본문
0. 배경 공무원인 지인이 평소에는 자기는 호봉제라 꾸준하게 연봉올라서 나중에 좋다 사기업은 연봉 안오를수도있고 언제 짤릴지 모르니 차라리 공무원이 낫다는둥 자랑질 했었음 근데 최근에 자기 연봉이 물가인상률보다 적다고 징징대길래 팩트체크 해봄 1. 공무원과 사기업 임금제도 차이 공무원은 호봉제라서 연차에 따라 연봉인상이 100% 확정되어있음 거기에 공무원은 호봉인상에다가 물가상승률을 어느정도 반영해서 +@로 인상을 해줌 (여론의식) 여기서 말장난인게 공무원 연봉 동결이라는건 +@가 없다는거지 호봉인상은 확정이라 올해보다 내년 연봉이 무조건 높음 사기업은 연차가 올라간다고 연봉인상이 되지않고 회사 경영상태 및 오너의 의지에 따라 연봉인상률이 결정됨 즉 사기업에서 연봉동결이다 올해 연봉 = 내년 연봉임
근데 공무원들은 호봉제로 인한 인상분은 모른척하고 +@ 인상만 따져서 언플함
이게 어이가 없어서 사기업방식으로 물가인상률 대비 연봉인상률 계산해봄 ※ 계산 조건 1) 공무원마다 수당은 다르므로 기본급만 계산 2) 공무원에게 최대한 유리하게 9급 1호봉에 진급 없다고 계산 3) 5년/7년/10년 근무시 연봉인상률과 물가인상률 비교
2. 계산 결과 1) 물가 상승률 -. 5년근무 (19년~23년) : 2019년 물가를 100%라고 가정할 때 2023년 물가는 112% -. 7년근무 (17년~23년) : 2017년 물가를 100%라고 가정할 때 2023년 물가는 114% -. 10년근무 (14년~23년) : 2014년 물가를 100%라고 가정할 때 2014년 물가는 118% ※ 출처 : 통계청
2)공무원 기본급 인상률 -. 5년근무 (19년~23년) : 19년 9급 1호봉 기본급을 100%로 가정할 때 5년차인 23년 9급 5호봉 기본급은 126% -. 7년근무 (17년~23년) : 17년 9급 1호봉 기본급을 100%로 가정할 때 7년차인 23년 9급 7호봉 기본급은 153% -. 10년근무 (14년~23년) : 14년 9급 1호봉 기본급을 100%로 가정할 때 10년차인 23년 9급 10호봉 기본급은 194%
호봉제로 인한 상승분을 반영시 물가상승률의 최소 2배이상 (5년) , 최대 5배 (10년) 공무원 임금이 올랐음 이건 각종 수당 제외 및 진급을 안했을때 가정이므로 실제로는 훨씬 더 높음
이래놓고 공무원 연봉 조금 올랐다 언플하는거보면 진짜 역겨움 |
- 이전글미국 날리면 노망확정! 24.07.12
- 다음글오늘 모비스에서 부품 하나 구매하는데 이게 맞는건지 의심도 들고 .. 24.07.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