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지방 집값마저 오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한다는 기본논리에 입각해서, 집에대한 수요는 지방이라도 있을수밖에 없어요.
누군가는, 투자는 서울에 해도,
임차인으로써 지방에 집에서 살아야하기때문이죠
만약 시간이 지나 지방의 집값이 안오른다는게 팽배해지고, 집사는게 ┰ 이란 논리가 만연해지면
신규 주거지 공급을 결국 안할겁니다. 그럼 연식따라 집은 노후해질거고, 그런식으로 알게모르게 전월세는 조금씩 올려계약될겁니다.
현대인의 기준에 맞지않는 낙후된 주거지말고, 현대인들이 그래도 살만한 집말입니다.
그럼 노후된 싸구려 집을 비싼 기회비용들여 거주하겠죠.
높은 리스크 짊어지고 브역대신평초 만들이유가 없으니, 구린아파트 노후된아파트에 더 큰 기회비용이 지불되게됩니다. 설령 그렇지않더라도 폭풍전야처럼 폭발잠재력이 눌린상있게됩니다되지요.
그러다가 트리거가 당겨지면 폭발적으로 오르는거구요. 지방 주요 아파트들이나 수도권빌라들은 이 사이클에 따라 결국 따라오르게 되는겁니다.
그 예시가 전 재앙강점기 시절 다주택자 때려잡고, 고이지가 올려 세금걷고 세입자 다 박살낸 임대차악법이였구요.
이런 사이클의 완화작용을 해주는게 다주택자입니다. 다주택자가 집을사주고 임대를 주어야 눌림목이 완화되고 공급이 비교적윤활되어 돌아갑니다.
그렇지않음 시장이 왜곡되는거죠,
집은 buy가 아닌 live라고 하시는분들, 집값은 늘 물가상승률 올라가듯 올라가는게 좋은이유입니다.
그렇지않음 청구서는 결국 왜곡되어 받는거죠. 임대차2법 트롤링마냥 부메랑처럼 돌아옵니다.
그리고, 사실 집값이 올랐다고 하지만 한국 대부분의 집값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거기두 하구요.
집값이 2배될동안 김밥값은 4배가되었으니까요.
과도한 인플레도 문제지만 디플레라면 더 문제입니다.
집값이 떨어지는게 만연한 상황이면 떨어지는 집값이 문제가 아닌 사회가 됩니다.
이걸 이해못하니 밀려나는 삶을 사시는거겠지만...
|
- 이전글마이크로닷 복귀할 수 있는 이유 ㄷ JPG 24.06.25
- 다음글SK하이닉스 기숙사 주차장 논란 24.06.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