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업계도 한 번 뒤집어야 함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카드 업계도 한 번 뒤집어야 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유진짱
댓글 0건 조회 404회 작성일 24-05-24 10:33

본문


카드결제하면 건당 얼마씩 정액이 아니라 매출의 1~4%까지 정률로 수수료를 뜯어감.

 

그럼 만약 B2B 거래로 법인이 2억 5천짜리 솔루션을 결제한다

 

수수료만 1000만 원인데, 카드결제 인프라 구축 작업 다 제외하고 이 거래 한 건에 대해서 카드사가 한 일이 뭐가 있음 2억 5천 여신 비슷하게 받아준 거 어차피 거래 가능 규모에 따라 전자 보증 보험 다 가입해두고 보증금도 받는데 여신이 아니죠. ㅋㅋ

 

무통장입금은 같은 CMS 회사나 PG사에서 정액으로 건당 50원, 100원 이렇게 받아갑니다.

 

5천 원을 결제해도 수수료 50원. 5억 원을 결제해도 수수료 50원.

 

우리같은 업자가 최대한 소비자한테 싸게 팔아보겠다고 마진 5% 정도로 낮게 잡고 착한 가게 행세 한 번 해보려고 하면 순수익의 80%가 카드사 수수료로 나감. ㅋ

 

그러니 업자들은 카드수수료 고려한 값으로 소비자가를 책정할 수밖에 없고, 그렇다면 현금 결제 고객들은 원래는 안 내도 됐을 불필요한 마진을 전부 감당하고 있는 거죠.

 

참고로 카드 결제 수수료 3% 고객 부담 시키는 것도 불법. ㅋ

 

카드 결제할 때 10% 더 받는 애들은 사실상 부가세 탈세 목적이라 이거 막는 건 당연히 이해하는데, 카드 수수료 3%도 고객한테 부담 못 시켜서 현금이든 카드든 무조건 같은 값으로 팔아야 함. 여신금융법에 나와있죠.

 

도대체 카드업계에 정부가 돈을 얼마나 받아처먹었으면 이런 말도 안되는 법안이 나왔는지. ㅋㅋ

 

근데 또 대기업에서 앱스토어 수수료 고객 전가하는 건 잘만 허용함.

 

카카오에서 웹 구매자는 30% 더 싸게 구입 가능. 이유는 애플의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유튜브 프리미엄도 애플 앱스토어에서 구독하면 30% 금액 추가. 안드로이드 앱마켓은 본인들 컨트롤 아래에 있으니까 ㄱㅊ ㅋ

 

결국 앱스토어 수수료도 판매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고객과의 접점을 늘려준다는 의미에서 카드 수수료와 징수 이유가 크게 다르진 않음. 근데 너무나 당당하게 스토어 수수료를 부과하는 대기업들. 그리고 걔네들한테는 아무런 말도 안하는 정부. ㅋ

 

카드수수료 고객부담을 못하게 할 거면 앱스토어 차등 가격도 불법화해야죠. ㅋ 그럼 볼만하겠네요. 모든 구독료 30%씩 추가 인상. ㅋㅋ

 

카드수수료 얘기하면 꼭 반박하는 사람들 기본 논리가, 꼬우면 가맹계약 해지하고 현금만 받으라는 거죠. 카드사가 카드 팔아제끼려고 마케팅을 얼마나 하고 결제시스템 유지보수하는 데 돈을 얼마나 투자하는데, 이런 논리죠.

 

근데 카드사들 간 경쟁하는 과열 마케팅은 어차피 제로섬 게임. 우리나라에 카드 안 쓰는 사람 없고 카드 쓰는 사람 총 수는 동일함. 결국 같은 파이를 서로가 더 먹으려고 싸우는 꼴인데 이 마케팅비를 왜 수수료에 녹이는지와,

 

이 논리는 대기업 앱스토어 수수료 차등에도 똑같이 대입이 가능함. 카카오톡도 그럼 꼬우면 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 방 빼고 자체 홈페이지 APK 파일 다운로드만 지원하세요. ㅋㅋ 애플, 구글이 힘겹게 일궈놓은 인프라를 그대로 발만 담가서 사용하면서, 지들이 선택한 길이면서 왜 수수료 비싸다고 고객 부담시킴. ㅋㅋ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CODE404 / 대표 : 이승원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38-30, 9층
사업자 등록번호 : 456-03-016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의정부호원0046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지혜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445
어제
3,165
최대
3,749
전체
1,073,272
Copyright © PONO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