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스타급 CEO를 월급사장 취급하는 사람들이 많네요;; 쉽게 설명해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나도나도 댓글 0건 조회 444회 작성일 24-04-29 06:17 목록 게시판 리스트 옵션 수정 삭제 본문 하이브 해외 레이블 소속 가수가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블랙아이드피스 등등이고BTS 정국이 카타르 월드컵 메인테마곡 솔로로 부를 정도로 영향력 있는 글로벌 엔터기업이 하이브인데, 하이브 정도 되는 조건을 수도 없이 받았을거라구요마케팅 파워와 글로벌 네트워크 자체가 비교가 안되는데 ---------------------------- 누가 이렇게 남겼는데.. 스타급 CEO의 파워에 대해서 간략하게 글을 남겨 봅니다 모두 카카오엔터가 1대 주주고안테나 유재석, 유희열이 각각 20%,21.3%로 2대,3대 주주 입니다.아담엔터 지분이 아이유가19.5%, 배종한대표가 25% 주주 입니다 카카오가 미쳤다고 주식을 공짜로 넘긴게 아니라 주식으로 주요 핵심 인물들을 붙잡아 두고 있는 형태 입니다.주식이 없으면 레이블은 핵심인물이 퇴사하면 그냥 휴지조각이 되어 버리는 상황이죠..이렇게 카카오엔터가 지주사에 여러 자회사 법인(레이블)이 속해 있고, 지주사는 대표가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대표에게 주식을 모두 지급 하는걸 볼 수 있습니다. 민희진님이 그만두자 마자 하이브에서 연락을 한거처럼 하이브정도의 조건은 어느 기업이나 똑같이 지원 받았을거란건 사실 입니다.그리고 스타급 CEO나 구성원에게 지분없이 급여로는 동기부여가 안됩니다. 예를들어 설명 해 보자면 배민의 창업자김봉진씨가 롯데그룹으로 200억 출자를 받은 자회사 대표로 간다고 예를 들어보면연봉을 얼마줘야 김봉진씨를 데려올 수 있을까요 정답은 자회사의 돈으로는 얼마를 주든 데려올수가 없습니다. 연봉 50억을 책정하면 200억출자받은 회사는 2년만에 파산 입니다.연봉만 받고 출근도 안하고 그냥 돈만 받고 나가버릴 수도 있구요. 20억으로 데려올 수 있을까요 돈으로는 동기부여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200억출자 한 회사가 일정기간동안 근무 조건으로 스톡옵션(성과에 따른보상)을 주는 걸로 계약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김봉진씨가 스톡옵션 20%를 받기로 했으면 200억출자 한 회사의 40억정도의 가치 입니다. 김봉진급의 인물을 영입했으면 김봉진씨가 주변의 능력있는 인물을 스카웃해서 팀을 꾸리고 3년만에 매출 100억을 달성 한다고 쳐보자구요.. 이걸로 김봉진씨가 IR을 돌면 VC나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투자유치를 하면 금방 1,000억가치에 도달 하게 됩니다. 그럼 롯데는 200억을 투자해서 800억을 번거고 김봉진씨는 200억을 번거죠.. 여기서 하이브와 어도어를 대입해 보자면 하이브는 160억을 출자해서 기업가치로 얼마를 벌었냐 하이브80%, 민희진20%라고 가정 했을때하이브는 1조 6000억을 번거고 민희진은 4천을 번거죠.. 즉, 민희진급의 C랩은 어느회사를 가든 지분 20%이상을 취득 했을 것이고, 성과에 따른 보상을 누렸을 거란 겁니다. 이전글알리 비켜지마켓, 빅스마일데이에 1천억원 배팅.gisa 24.04.29 다음글손뽕들 역하네 24.04.29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하이브 해외 레이블 소속 가수가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블랙아이드피스 등등이고
BTS 정국이 카타르 월드컵 메인테마곡 솔로로 부를 정도로 영향력 있는 글로벌 엔터기업이 하이브인데,
하이브 정도 되는 조건을 수도 없이 받았을거라구요
마케팅 파워와 글로벌 네트워크 자체가 비교가 안되는데
----------------------------
누가 이렇게 남겼는데..
스타급 CEO의 파워에 대해서 간략하게 글을 남겨 봅니다
모두 카카오엔터가 1대 주주고
안테나 유재석, 유희열이 각각 20%,21.3%로 2대,3대 주주 입니다.
아담엔터 지분이 아이유가19.5%, 배종한대표가 25% 주주 입니다
카카오가 미쳤다고 주식을 공짜로 넘긴게 아니라 주식으로 주요 핵심 인물들을 붙잡아 두고 있는 형태 입니다.
주식이 없으면 레이블은 핵심인물이 퇴사하면 그냥 휴지조각이 되어 버리는 상황이죠..
이렇게 카카오엔터가 지주사에 여러 자회사 법인(레이블)이 속해 있고, 지주사는 대표가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대표에게 주식을 모두 지급 하는걸 볼 수 있습니다.
민희진님이 그만두자 마자 하이브에서 연락을 한거처럼 하이브정도의 조건은 어느 기업이나 똑같이 지원 받았을거란건 사실 입니다.
그리고 스타급 CEO나 구성원에게 지분없이 급여로는 동기부여가 안됩니다.
예를들어 설명 해 보자면
배민의 창업자김봉진씨가 롯데그룹으로 200억 출자를 받은 자회사 대표로 간다고 예를 들어보면
연봉을 얼마줘야 김봉진씨를 데려올 수 있을까요
정답은 자회사의 돈으로는 얼마를 주든 데려올수가 없습니다. 연봉 50억을 책정하면 200억출자받은 회사는 2년만에 파산 입니다.
연봉만 받고 출근도 안하고 그냥 돈만 받고 나가버릴 수도 있구요. 20억으로 데려올 수 있을까요 돈으로는 동기부여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200억출자 한 회사가 일정기간동안 근무 조건으로 스톡옵션(성과에 따른보상)을 주는 걸로 계약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김봉진씨가 스톡옵션 20%를 받기로 했으면 200억출자 한 회사의 40억정도의 가치 입니다.
김봉진급의 인물을 영입했으면 김봉진씨가 주변의 능력있는 인물을 스카웃해서 팀을 꾸리고 3년만에 매출 100억을 달성 한다고 쳐보자구요.. 이걸로 김봉진씨가 IR을 돌면 VC나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투자유치를 하면 금방 1,000억가치에 도달 하게 됩니다.
그럼 롯데는 200억을 투자해서 800억을 번거고 김봉진씨는 200억을 번거죠..
여기서 하이브와 어도어를 대입해 보자면
하이브는 160억을 출자해서 기업가치로 얼마를 벌었냐 하이브80%, 민희진20%라고 가정 했을때
하이브는 1조 6000억을 번거고 민희진은 4천을 번거죠..
즉, 민희진급의 C랩은 어느회사를 가든 지분 20%이상을 취득 했을 것이고, 성과에 따른 보상을 누렸을 거란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