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DAC 특히 꼬다리류 강추합니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중국산 DAC 특히 꼬다리류 강추합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어거스트
댓글 0건 조회 430회 작성일 23-10-24 08:41

본문


아래 뭐 중국산 DAC거르라는 분이 있는데,

그분 의견은 존중합니다, 어차피 저 구름 위에서 노는 애호가 분들은 그분들 나름대로의 기준이 있을테니까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일반인 기준에서 보자면 잘 골라서 사기만 한다면야 중국산 DAC/헤드폰앰프들 가성비는 정말 좋습니다.


 


A. 핸드폰에 이어폰을 유선 연결할 경우: 꼬다리 추천


 


(주로 안드)핸드폰이나 태블릿에 연결하는 정도면 사실 엔간한 '좀 괜찮은' DAC꼬다리 정도만 사도


기본 핸드폰 음질보다는 만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애초에 요즘 3.5mm 단자가 없기도 하고요)


 


임피던스가 높지 않은 이어폰은 가성비 면에서 삼성 꼬다리나 애플 꼬다리 선에서 정리가 됩니다만...


애플이랑 삼성 둘다 usb-c 꼬다리를 제한적으로 공급하는() 거 같아서, 진짜 정품을 사긴 어렵고요.


 


어차피 꼬다리 DAC 류가 케이블 꺾이는 부분의 내구성이 똥망이라,


개인적으론 적당히 저렴한 제품을 알리에서 몇개 사서 쟁여놓고 쓰시는 걸 권합니다.


 


알리에서 이런 류 제품을 검색하면 정말 정체도 모르는 DAC가 들어간 제품들이 많은데, 


그나마 ALC5686이나 CX31993 들어간 꼬다리 정도면 대략 8500~15000원 선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CX31993 들어간 제품은 종종 꽁돈대첩에 5000원 대로 뜹니다)


 


이정도면 사실 일반적인 유저들이 소위 음감용 입문급 정도의 이어폰/헤드폰(대략 20만원 아래쪽) 쓰기에는 충분한 제품들이라 봅니다.


 


B. PC에 이어폰이나 일반적인 헤드폰을 유선 연결할 경우: 저렴한 거치형 추천


 


PC연결용이라면 좀 취향에 따라 얘기가 다른데, 컴퓨터 자체 볼륨조절을 쓰고 싶고, 이어폰이든 헤드폰이든 1개만 연결할거면 똑같이 USB-C 타입 꼬다리를 쓰시면 충분하지만, 스피커를 연결하거나 하시는 경우는 그래도 거치형 DAC가 편할겁니다.


 


제 경우 PC에 연결하는 용도로 거치형은 볼륨노브가 있어야 한다는 주의라서, 


가성비로는 FiiO E10K-TC같은 류의 엔트리급 USB DAC+헤드폰앰프 제품 같은걸 권합니다.


 


중고 기준으로는 E10K뒤에 TC가 안 붙은 구형 E10K정도면 5만원 선에서 구하실수 있고,


신품 기준이라면 가성비가 좋다는 ifi UNO 같은게 있을겁니다. 


 


여기서 한단계 올라가려면 usb 버스파워 (즉, pc에서 전원을 받는 것)가 아닌 별도의 DC전원을 쓰는걸 써야 하는데, 최소 20만원 중반대 이상입니다만... 그 차이를 느끼시는 분들이면 어차피 일반인 범주는 넘어간다 보고요..


 


스피커-헤드폰 전환이 잦다면, 편의성 측면에서는 스피커 전환버튼이 붙은 'usb 외장형 사운드카드' 류 중에서


좀 고급 제품을 쓰시면 되는데, 이쪽 계열은 usb dac에 밀려서 거의 죽은() 시장이라, 게이밍 지향인 사운드블래스터 말고는 가성비 있는 제품이 잘 없습니다.


절대적인 음질은 요즘 나오는 usb dac+헤드폰앰프 제품보다 좀 못할 수 있지만, 


 


프로디지 큐브 계열 정도면 중고로 3만원 전후에 구할 수 있으니 편의성 면에서 좋고요, 


비슷하게는 오딘스트쪽에도 비슷한 제품이 몇가지 있습니다.


 


C. 블루투스 헤드폰앰프로 가는 경우


 


무선은 쓰고 싶은데, 음질 좋은 이어폰/헤드폰은 또 쓰고 싶다 이런 경우라면 블루투스 DAC+헤드폰앰프가 통합된 제품을 사면 됩니다.


이쪽에서 가장 흔한 선택은 큐델릭스5K 나 FIIO BTR3K/BTR5, 샨링 UP5 같은 제품들인데,


기능면에서는 서로 장단점이 있다고 봅니다만, AS면에서 저는 큐델릭스가 유리하다고 봅니다.


FIIO제품의 경우 국내 정식유통분이 아니면, 이론상으로는 AS가 가능하지만, 실제 해 보면 수리비가 너무 많이 들어서 사실상 AS받기 힘듭니다. 배송도 쉽지 않고요. (해보고 하는 소리임)


 


특히 이런 제품들 중 상당수는 2.5mm나 4.5mm 밸런스드 단자를 달고 있어서, 추후 좀 더 상위 이어폰/헤드폰으로 업그레이드 할 때 유용할 수 있고, 대부분 이런 제품들이 유선 DAC모드도 제공하기 때문에 PC에 별도로 DAC를 달고 싶지는 않지만 가끔 사용하고 싶은 경우 중복투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블루투스 음질 얘기를 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사실 그거 블라인드 테스트로 알아낼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나 의문입니다.


대부분의 일반인은 128kbps 정도의 비트레이트가 넘어가면 코덱별 차이를 "유의미한 정확도로" 구분하기란 거의 불가능합니다.


블루투스 코덱의 경우에도, aptX의 효과는 SBC만 있던 시절에나 우월한 코덱이었지,


 


현실적으로는 AAC와 LDAC, SSC등이 도입된 이래 aptX에 굳이 심하게 구애될 필요는 없다 봅니다.


실제로 큐델릭스5K나 BTR3K 등의 경우 LDAC와 AAC, aptX를 모두 지원하지만, 결국 실제로 써 보면 앰프부의 영향이 더 크지, (볼륨이 똑같다는 전제 하에..) 코덱은 뭘 써도 현격한 음질차를 느끼긴 쉽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 동일한 큐델릭스5K 에서 코덱 바꿔가면서 듣는 것 보다 동일코덱으로 큐델<->BTR3K 간 소리 차이가 더 큽니다;;)


 


 


D. 그 외 정리 및 결론


 


- 어차피 음질 어쩌고 해봤자 일반인 막귀 수준에서 엔트리급 제품과 고급제품의 확실한 음질차이는 알기 힘듭니다.


- 하지만, 엔트리급 중국산 DAC정도만 돼도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와의 차이는 막귀라도 대부분 알 수 있습니다.


- DAC별로 음색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막귀 수준에서 DAC차이보다는 리시버(이어폰/헤드폰/스피커)의 차이가 더 영향력이 큽니다


- 중국산 제품들의 QC가 좀 의문부호긴 하지만, FIIO나 샨링 정도면 그래도 어느정도 기본은 된 업체들이라 봅니다. 


   3~40만원대 제품을 사도 되느냐에 대해서는 전 좀 아니라고 보지만, 20만원대 아래 엔트리급 제품 정도면 충분한 값어치는 한다 봅니다.


- 개인적으로 엔트리급 음감 추천 지름 순서()는


   DAC 꼬다리 (엔트리급으로) -> 적당한 이어폰/헤드폰 -> 이후 상위 이어폰/헤드폰으로 업그레이드 하시다가 출력이나 구동에 한계를 느끼시면 그때 DAC나 헤드폰앰프를 상위제품을 사면 된다고 봅니다.


- 위 시나리오에서 DAC꼬다리 대신 큐델릭스5K나 BTR3K같은 걸 사면 사실상 고임피던스 헤드폰 가기 전까지는 DAC/앰프에서 업그레이드 하실 일은 거의 없으니, 한방에 가시는것도 좋습니다.


- 장비를 따지기 시작하면 너무 장비스펙에 매몰되기 쉽고, 음감이라는 원래 목적을 잃어버리게 되기 쉽습니다. 


  소위 오디오 덕후들 표현으로 '음악이 아니라 스펙을 듣는거' 가 꼭 나쁜 건 아니지만, 좀 더 음악에 집중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E. 여담


 


다행히 전 막귀인데다 40이 넘고 보니 가청주파수 대역이 약간씩 줄어들고 있어서, 아주 좋은 장비는 별로 안 땡기더군요. (돈도 없음)


그래서 저렴하고 취향에 맞는 장비들을 이것저것 사서 만족스럽게 쓰고 있습니다.


 


출퇴근용으로는 


겨울 음감용 - AKG K371-BT


그외 사계절 음감용 - Westone W20 + 2.5mm 밸런스드 커스텀케이블 + 큐델릭스5K (BTR3K 에서 기변)


 


회사용으로는


프로디지큐브 블랙에디션


이어폰 - NiceHCK EB2S PRO


헤드폰 - KOSS KPH40 Utility


 


집에서는


데스크탑 - FiiO E10K


아이패드 프로 - 알리 꼬다리 (Graveaudio DA06 CX31993 칩셋)


이어폰 - NiceHCK YD30 / VE Monk


헤드폰 - Audio Technica ATH-TAD5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CODE404 / 대표 : 이승원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38-30, 9층
사업자 등록번호 : 456-03-016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의정부호원0046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지혜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946
어제
2,233
최대
3,576
전체
1,008,617
Copyright © PONO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