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화, 대규모 자본 유출의 쓰나미 (BOA)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한국 원화, 대규모 자본 유출의 쓰나미 (BOA)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리향
댓글 0건 조회 70회 작성일 25-11-10 23:30

본문


한국 원화, 대규모 자본 유출의 쓰나미 (Bofa)

1. 환율 및 시장 흐름

• 최근 3개월간 원화는 아시아 통화 중 가장 약세, 달러 대비 약 5% 하락

같은 기간 DXY는 약 2% 상승했으나 USDKRW는 더 가파르게 상승, 한국 고유 요인 반영

• 외국인 주식 순매도(MTD -47억 달러)와 기술주 밸류에이션 부담, 연준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달러 수요를 강화

• 반도체 수출 둔화와 대규모 해외투자 약정이 국내 투자심리 약화에 기여

원화는 단기적으로 아시아 내 가장 취약한 통화로 평가

2. 경상수지와 자본수지의 괴리

• 2025년 1~9월 기준, 경상수지 흑자 827억 달러 vs 금융계정 적자 769억 달러

포트폴리오 투자에서만 600억 달러 순유출 발생

• 외국인 KTB 310억 달러 순매수는 대부분 FX 헤지로 실제 자금 유입 효과 제한

• 실질적으로 비헤지 자금 기준 순유출은 900억 달러에 육박해 경상흑자를 상쇄

결과적으로 원화 약세의 핵심 원인은 대규모 투자자금 해외 유출

3. 기관별 해외투자 동향

1) 국민연금

• 2025년 1~9월 해외자산 약 300억 달러 순매수, 역대 최대

• 2026년말 글로벌 주식 비중 목표 38.9% (2025년 35.9% 대비 상향)

KOSPI 강세에도 불구, 전략적 해외투자 비중 확대 유지

• 차기 이사장 인선(11월 중순 예정) 이후 국내 주식 비중 확대 여부 주목 → 대통령 공약(코스피 5000 달성)과 연계 가능성 존재

2) Other Financial Corporations

• 2025년 1~9월 415억 달러 해외자산 매입

대부분 해외주식 투자 중심, 미국 주식 ETF 및 글로벌 펀드 중심으로 확대

• 개인투자자 수요 증가에 맞춰 해외투자상품 공급 확대, 2026년에도 지속 전망

3) 개인투자자

• 2025년 1~9월 기준 해외자산 순매입 437억 달러

• 순유출 기준으로는 240억 달러, 그러나 외국인 국내주식 순매수에 일부 상쇄

• 주식 250억 달러, 채권 187억 달러 순매수

개인이 한국 내 가장 큰 외화 수요원으로 부상

4. 구조적 요인 및 향후 변수

1) 미국-한국 투자협정(US-Korea Investment Deal): 향후 8년간 매년 약 200억 달러 수준의 한국 기업 대미 직접투자 확대 예상 → 금융계정 적자 확대 요인

2) 전략적 환헤지 조건(NPS 기준): USDKRW이 1,455 이상 5일 연속 지속 시 NPS의 전략적 환헤지 발동 가능 → 1,455는 기술적·정책적 저항선 역할

5. 종합 시사점

원화 약세는 단순한 환율 사이클이 아닌 구조적 자금 유출 현상

한국의 대외투자 확대(공적·민간·가계)가 지속될 경우, USDKRW는 중장기적으로 1,400대 상단 중심의 박스권 형성 가능

향후 달러 약세 국면에서도 원화의 상대적 회복력은 제한적

• NPS의 전략적 헤지 발동 여부, 차기 이사장의 국내주식 비중 조정, 그리고 미국 내 한국 기업의 추가 투자 계획이 향후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

 

 

출처 : BOA 리서치, 엄브렐러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CODE404 / 대표 : 이승원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38-30, 9층
사업자 등록번호 : 456-03-016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의정부호원0046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지혜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825
어제
1,888
최대
4,986
전체
1,177,285
Copyright © PONO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