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감기 항생제 주세요"가 부른 재앙…2030년 3만 명 죽이는 '조용한 팬데믹'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 항생제 오남용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면서 '조용한 팬데믹'으로 불리는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AMR)의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2023년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하루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31.8개로, OECD 회원국 평균(19.5개)을 1.6배 가까이 웃도는 수치다. 이는 튀르키예(41.1개)에 이어 세계 2위에 해당하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일시 감소했던 사용량이 방역 해제 이후 다시 급증세로 돌아선 것은 국내 항생제 오남용의 고질적인 문제를 보여준다.
문제는 이러한 '항생제 만능주의'가 잘못된 의학 지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로,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그러나 질병청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7명(72%)이 "항생제가 감기에 도움이 된다"고 잘못 인식하고 있었다.
국민의 잘못된 인식은 의료 현장의 과잉 처방으로 이어진다. 의사 10명 중 2명(20.8%)은 항생제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도 처방을 하고 있으며, 그 주된 이유로 '환자 요구(30.4%)'와 '상태 악화 우려(24%)'를 꼽았다. 환자가 항생제를 요구하거나, 의사가 환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불필요한 처방을 남발하는 악순환이 항생제 내성을 키우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가기
질병관리청의 2023년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하루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31.8개로, OECD 회원국 평균(19.5개)을 1.6배 가까이 웃도는 수치다. 이는 튀르키예(41.1개)에 이어 세계 2위에 해당하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일시 감소했던 사용량이 방역 해제 이후 다시 급증세로 돌아선 것은 국내 항생제 오남용의 고질적인 문제를 보여준다.
문제는 이러한 '항생제 만능주의'가 잘못된 의학 지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로,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그러나 질병청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7명(72%)이 "항생제가 감기에 도움이 된다"고 잘못 인식하고 있었다.
국민의 잘못된 인식은 의료 현장의 과잉 처방으로 이어진다. 의사 10명 중 2명(20.8%)은 항생제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도 처방을 하고 있으며, 그 주된 이유로 '환자 요구(30.4%)'와 '상태 악화 우려(24%)'를 꼽았다. 환자가 항생제를 요구하거나, 의사가 환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불필요한 처방을 남발하는 악순환이 항생제 내성을 키우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가기
- 이전글[광고] 인제 산불, 축구장 40개 면적 잿더미..건조·강풍에 진화율 68% '난항' 25.11.21
- 다음글[광고] 필승 원더독스, 예능 넘어 현실 입단까지… '신인감독 김연경'이 만든 기적 25.11.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