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최저임금도 못 받는 '학교의 밥심', 급식조리사들이 국회에 요구한 세 가지
페이지 정보

본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강원지부를 비롯한 연대회의가 지난 20일 국회 앞에서 총파업대회를 열고 열악한 처우 개선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날 강원도내 660개 학교 중 450곳, 1,600여 명의 급식조리사 및 돌봄교사 등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학교 급식실 운영이 중단됐다. 급식소가 아닌 교실에서 대체식(딸기롤케이크, 토핑요플레 등)을 받아든 학생들은 집에서 가져온 도시락과 함께 식사를 해야 했다. 학교 측은 교감의 설명을 통해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파업 배경을 전달했다.
이번 총파업은 낮은 처우와 고강도 노동 환경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됐다. 연대회의는 최저임금 이상의 기본급 지급, 중앙행정기관 공무직과 동일한 기준의 명절휴가비(기본급 120%) 지급, 방학 중 무임금에 대한 생계 대책 제시, 고강도 위험 노동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을 주요 요구 사항으로 내세웠다. 정인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본부장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과 명절 임금 등 여전한 차별이 존재한다"며 교육 당국의 진전된 안을 촉구했다.
실제로 급식조리사는 낮은 처우로 인해 기피 직업이 된 지 오래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강원지역 조리실무사 정기채용 모집인원 중 21.4%가 미달됐으며, 자발적 퇴사(의원면직) 비율은 2024년 63%까지 치솟았다.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실 자료에서는 강원도내 조리실무사가 방학 중에는 학기 중 대비 최대 77%까지 소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계 불안정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입사자 중 6개월 이내 조기 퇴사하는 비율도 24.2%에 달한다.
바로가기
이날 강원도내 660개 학교 중 450곳, 1,600여 명의 급식조리사 및 돌봄교사 등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학교 급식실 운영이 중단됐다. 급식소가 아닌 교실에서 대체식(딸기롤케이크, 토핑요플레 등)을 받아든 학생들은 집에서 가져온 도시락과 함께 식사를 해야 했다. 학교 측은 교감의 설명을 통해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파업 배경을 전달했다.
이번 총파업은 낮은 처우와 고강도 노동 환경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됐다. 연대회의는 최저임금 이상의 기본급 지급, 중앙행정기관 공무직과 동일한 기준의 명절휴가비(기본급 120%) 지급, 방학 중 무임금에 대한 생계 대책 제시, 고강도 위험 노동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을 주요 요구 사항으로 내세웠다. 정인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본부장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과 명절 임금 등 여전한 차별이 존재한다"며 교육 당국의 진전된 안을 촉구했다.
실제로 급식조리사는 낮은 처우로 인해 기피 직업이 된 지 오래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강원지역 조리실무사 정기채용 모집인원 중 21.4%가 미달됐으며, 자발적 퇴사(의원면직) 비율은 2024년 63%까지 치솟았다.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실 자료에서는 강원도내 조리실무사가 방학 중에는 학기 중 대비 최대 77%까지 소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계 불안정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입사자 중 6개월 이내 조기 퇴사하는 비율도 24.2%에 달한다.
바로가기
- 이전글[광고] 나경원 '세이프' 했지만..국힘, 눈앞의 악재 '체포안·계엄1년' 첩첩산중 25.11.21
- 다음글[광고] 환상의 나라가 죽음의 덫으로? 디즈니월드, 한 달 새 5명 사망 '충격' 25.11.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